(서울일보/고영준 기자) 해병대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해병대 특검이 관련 수사 범위를 점차 확대하고 있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관계자들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며, 국회 위증 의혹과 관련해 내부 절차와 사건 처리 경과를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민간 인사들의 관련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조사도 이어지고 있다. 특검은 복수의 참고인 조사와 자료 분석을 통해 접촉 경로 및 정황을 정밀 검토하고 있으며, 과거 동석 사실 등이 언급된 인물들의 일정과 통신기록 등을 대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복적인 출석 연기를 이어온 일부 인사에 대해서는 법원이 증인신문을 진행하기로 결정한 가운데, 특검은 다양한 자료와 진술을 종합해 조속한 실체 규명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외교·법무 관련 인사에 대한 보강 조사가 병행되고 있으며, 특정 인사의 해외 파견 및 출국 경로에 대한 내부 검토 및 기록 대조도 이뤄지고 있다. 대통령실의 관련 여부에 대해선 아직까지 명확한 사실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향후 필요 시 적법한 절차에 따라 진술 청취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라고 특검 측은 밝혔다.

한편 국회 군사법원 국정감사에서는 이번 사건을 둘러싸고 여야 간 입장 차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특검은 "출범 이후 약 200명 이상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으며, 신병 처리와 기소 여부는 수사 결과에 따라 판단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사건의 핵심 쟁점은 수사 외압이 실질적으로 행사됐는지, 출국 절차가 수사에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다. 특검은 관련 문서, 보고 시각, 통신기록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객관적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사건의 본질이 순직 장병의 희생이라는 점에서, 특검은 수사의 속도보다는 진실 규명과 재발 방지책 마련에 중점을 두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