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자근 의원은 1일 정부 유관 인증기관의 수수료 수입이 천문학적으로 늘고 있는데 비싼 인증 수수료를 대폭 인하하고, 복잡한 제도 절차를 전면 수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구자근 의원실) 
구자근 의원은 1일 정부 유관 인증기관의 수수료 수입이 천문학적으로 늘고 있는데 비싼 인증 수수료를 대폭 인하하고, 복잡한 제도 절차를 전면 수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구자근 의원실) 

(서울일보/김병건 기자) 중소기업들이 정부의 유관 인증기관으로부터 중복·늑장 인증에 따른 부담으로 인증 수수료를 감당하지 못해 납품과 신제품 개발을 포기하는 등 피해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한국의 중소기업들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4개의 정부 유관 인증기관은 인증 수수료 수입은 2조원이 넘는 천문학적인 수입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구자근 의원이 산업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4개의 정부 유관 인증기관 ‘한국건설생활환경연구원(KCL)’,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의 최근 5년간(2016~2020년) 인증 수수료 수입은 2조 1,127억원으로 집계됐다. 

국토교통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등 24개 부처가 80개 법정의무 인증과 106개 법정 임의인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중소기업의 연간 인증 취득 비용은 2,180만원, 취득 소요 기간은 평균 5.5개월에 이른다. 정부는 기업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여러 제도개선을 추진했지만 중소기업이 체감하는 수준에 이르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한 미국과 유럽국가 등의 인증은 국내에서 통하지 않고, 국내 인증 또한 해외에서 인정받지 못한다. 심지어 국내 인증은 미국과 유럽보다 까다로워 ‘행정편의주의의 산물’이라는 비판마저 일고 있다.

한 의료기기업체 임원은 “인공지능(AI) 빅게이터 등 신기술이 들어간 의료기기를 개발했지만 인증 심사 담당자가 기술 자체를 이해하지 못해 결국 인증을 포기했다.”며 “도리어 인증기관을 학습시켜야 하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한 인증기관의 관계자는 “인증의 전문성을 위해 사옥을 추가 건립 하는 등 기관의 규모가 커진 영향”이라고 해명했다.

구자근 의원은 “중소 제조업의 취업자 수와 소득은 감소하고 공장 가동률은 저조한데 정부 유관 인증기관의 수수료 수입이 천문학적으로 늘고 있다는 것은 우리에게 큰 박탈감을 느끼게 한다”라며 “비싼 인증 수수료를 대폭 인하하고, 복잡한 제도 절차를 전면 수정해 정확한 제도개선과 대책 마련을 통해 국가 기업 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