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3%에서 2.1%로 낮춰 잡았다. /뉴시스

(박진우 기자) 한국은행이 코로나19 확산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3%에서 2.1%로 낮춰 잡았다.

그러나 한은은 금리인하로 선제적 대응에 나서는 대신 금리를 묶어두고 상황을 지켜보는 쪽을 택했다. 코로나19 사태가 3월 정점을 찍고 이후 진정세를 되찾을 것이라는 전제다. 경제적 충격이 얼마나 될지 가늠하기 어려운 만큼 금리인하 부작용 등을 감안해 신중한 행보를 이어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27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정례회의를 열고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3%에서 2.1%로 하향 조정했지만, 기준금리는 연 1.25%로 동결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금리동결 배경에 대해 “코로나19가 3월 중 정점에 이르고 이후 진정세 나타날 것으로 전제했다”며 “코로나19 사태가 예상대로 될지, 좀 더 전개될지 엄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고 밝혔다.

현 시점에서 금리를 내리는 것보다는 취약 부문을 지원하는게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 총재는 “국내 수요와 생산활동 위축은 경제적 요인보다는 감염 위험에 따른 불안심리에 기인한 것이라 현 시점에서 금리조정보다는 서비스업 등 피해를 크게 받고 있는 취약 부문을 선별 지원하는 미시적 정책이 보다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사태가 경기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예상되지만, 한은으로서는 지표로 확인할 시간이 더 필요했던 셈이다. 한 발 더 나아가면 사상 첫 1.0%대 시대가 열리게 되는 만큼 쓸 수 있는 정책적 여력도 크지 않은 상황이다. 금리인하로 소비 위축세를 되살릴 수 있을지 여부도 불투명하다. 1600조원을 넘어선 가계빚과 아직 열기가 사그라들지 않은 부동산 시장은 금리인하의 부담 요인이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