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총리, 리커창 총리가 24일(현지시간) 중국 쓰촨성 청두 두보초당에서 한중일 협력 20주년 기념식수를 한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 /뉴시스

(이진화 기자) 문재인 대통령의 1박2일 중국 방문의 성과는 주변국과 교류 협력 확대 기반을 넓혔으며 한중일 3국 간 협력이라는 표면적 목표 외에도 한·중-한·일 관계 복원을 위한 단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북미 비핵화 협상의 좌초 위기 속에서 한·중·일 3국 정상 간 북미 대화의 모멘텀 유지 노력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한 것도 나름의 의미 있는 결과다.

한반도 평화 유지가 한중일 3국 간 공동의 책임이며, 오직 대화를 통해서만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이룰 수 있다는 내용을 의장 성명에 담았다.

특히 남북 간 철도·도로 협력 사업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제재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긴 중국과 러시아의 해제 결의안에 대해 한·중 정상이 함께 의논했던 부분도 시사점이 크다.

북한이 공언한 '새로운 길'과 맞물려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무엇보다 의미가 깊었던 것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한중 정상회담이라 할 수 있다. 2년 전 한중 간 사드 문제를 '봉인'하기로 합의했던 것에서 나아가 실질 관계 회복의 발판을 마련한 계기가 됐다.

아베 총리와 공식적으로 15개월 만의 한일 정상회담을 가진 것도 나름 의미 있는 성과 중 하나다. 물론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관한 전향적인 입장 변화 등 가시적인 성과는 없었다 해도 정상급 공식 채널이 가동됐다는 데 의미를 부여할 만하다.

비공개 회담으로 전환된 뒤에 문 대통령은 일본이 취한 수출 규제 관련 조치가 7월1일 이전 수준으로 조속히 회복되어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아베 총리는 3년 반만에 재개된 한일 간 수출규제 정책 대화를 언급하며 대화를 통한 해결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재확인했다.

강제징용 문제에 대해서도 한일 두 정상의 인식은 평행선을 달렸다. 문 대통령은 삼권분립의 원칙을 강조하고 한일청구권협정을 부정한 적이 없으며 피해자 치유 중심의 해결방안이 필요하다는 기존 입장을 거듭 재확인했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