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장

우리나라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은 다른 나라에 비해 엄청나게 많다. 평소 밥상은 물론 손님이 오거나 잔치 등을 할 때도 푸짐하게 상을 차려 놓아야 대접을 잘하는 것이라는 의식이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요식업소들도 김치를 비롯한 기본 반찬을 그릇에 넘치도록 듬뿍 담아주면서 음식물쓰레기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배출되는 우리나라 음식물쓰레기는 하루에 1만 5000톤에 이르며 처리비용만 연간 1조 원이 넘게 들어간다.

국민 한 명이 하루 동안 버리는 쓰레기가 930g인데 그 중 음식물쓰레기가 40%에 달한다.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연간 20조 원을 훌쩍 넘기고 있다고 한다.

상황이 심각해지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은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대책들을 내놓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도입이다. 종량제 봉투에 혼합 배출되었던 음식물쓰레기를 분리해 배출자 부담을 강화한 것이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는 공동주택에서 우선 실시해 음식물 발생량 측정기기를 수거차량에 부착해 공동부담하는 식이었다.

그러다 최근엔 음식물쓰레기를 버린 만큼 비용을 내는 전자태그 종량기를 설치해 세대별로 음식물쓰레기량을 측정해 그 무게만큼 수수료를 부담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는 이제 공동주택에서 일반주택가에도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서울의 일부 자치구들은 전자태그 종량기를 일반주택가에도 설치해 각 가정의 음식물쓰레기 감량 체감도를 높여 배출량을 줄여 나가고 있다.

이런 방법은 쓰레기 처리비용을 배출자에게 부담해 줄여보자는 식이다. 물론 이런 방법들이 음식물쓰레기를 줄이는 데 일정 부분 효과를 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보다 더 현실적으로 더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그 중 하나가 음식물의 유통기한을 소비기한으로 변경해 음식물의 무분별한 쓰레기화를 막아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유통기한은 유통업체가 식품을 판매할 수 있는 기간이고 소비기한은 소비자가 먹을 수 있는 기간을 말한다.

소비기한이 유통기한보다 훨씬 길다. 그럼에도 유통기한을 넘은 음식물은 먹지 않고 폐기해야 한다는 의식으로 인해 먹을 수 있는데도 버리는 음식물이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면 과감하게 소비기한으로 표기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의 경우 이미 소비기한을 채택하고 있으며 일본은 병행표기하고 있다.

물론 우리의 음식문화의 특성을 감안해 품목별로 면밀한 안전성 검토가 있어야겠지만 막연한 불안감으로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마련됐으면 한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