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장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국내로 침입했다. 우려했던 일이 벌어지고 만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17일 경기도 파주시 소재 양돈농장에서 폐사한 어미돼지를 정밀 검사한 결과 아프리카 돼지열병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비상대책을 가동하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무서운 이유는 폐사율이 거의 100%여서 감염된 돼지는 반드시 폐사하는데도 불구하고 바이러스가 크고 복잡해 백신조차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염성이 강하고 바이러스의 생존능력이 높아 한 번 발병하면 확산속도가 빠르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그 피해가 클 것으로 우려된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0년 11월 발생한 구제역으로 6000여 농가에서 돼지, 소 등 모두 345만여 두의 가축을 땅에 파묻었다. 가장 피해가 컸던 양돈의 경우 전년 생산액 대비 35%에 달했고 전체 추정 피해액은 4조원에 육박할 정도였다.

그런데 이렇게 큰 피해를 입혔던 구제역보다 더 큰 피해를 줄 것으로 우려되는 것이 바로 아프리카 돼지열병이다.

아프리카 돼지열병은 그동안 동부 유럽을 비롯해 러시아와 중국, 베트남 등을 휩쓸면서 큰 피해를 주었다.

지난 5월에는 북한에서도 발병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 유입이 예상되자 국무총리가 현장에 직접 나가 대책마련을 지시할 정도로 차단에 노력을 기울였지만 구멍이 뚫리고 말았다.

국내 유입을 차단하지 못한 이상 이제 확산을 최대한 억제하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게 쉽지 않다. 앞서 설명한대로 확산 속도가 빠르고 백신조차 개발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감염경로가 다양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어서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다.

그렇다고 해도 방역에 최선을 다하면 피해는 줄일 수 있다. 중앙정부를 컨트롤타워로 해서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적극 나서야 한다.

특히 현재 55만 두로 국내에서 가장 사육두수가 많은 충남 홍성군 지역의 경우 특단의 대책을 세워나가야 한다.

아프리카 돼지열병의 감염경로로는 바이러스가 들어 있는 음식물을 먹이거나 농장 관계자가 발병국을 다녀오거나 발병국의 택배 등으로 전염시키는 경우가 일반적으로 지목된다.

또한 야생 멧돼지가 바이러스를 옮기는 경우도 상정해볼 수 있다.

이런 유입경로를 제대로 파악하고 실효성 있는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 일단 발병한 지역의 축산물 등이 외부로 나가지 않도록 철저하게 관리하는 것이 우선이다.

그리고 축산농가에서 일하는 상당수의 노동자들이 중국, 베트남, 몽골 등 발병국 출신이라는 점에서 이들에게 오는 택배 등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물론 관련 농가 등이 비상한 마음으로 대처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