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장

약값이 약국마다 너무 많이 차이가 난다는 불만은 국민들과 일부 약사들 사이에서 꾸준히 제기되는 사안이다.

차이가 나도 어느 정도야지 많게는 3배가 넘게 차이가 나는 건 문제라는 것이다. 소비자는 물론 약사들까지도 문제를 인정하고 있는 사안인 만큼 정부가 나서서 보완책 마련을 검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소비자가 평소 이용하던 약국에서 5만 원을 주고 사 먹던 약값이 다른 약국에서 3만 5000원에 판매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마음이 어떨까. 이 정도 차이라면 그래도 나은 편이다. 일부 약값은 3배나 차이 나는 약도 있다니 그 이유가 뭔지 궁금하고 이해하기 힘들다.

물론 약마다 어느 정도 시장가가 형성돼 있기는 하다. 하지만 터무니없는 가격 차이를 보이는 품목이 문제다.

한국소비자연맹이 16개 다국적 제약사 일반의약품 가격을 조사한 결과 4개 제품의 경우 최고가와 최저가가 약 두 배 차이가 났다. 그 중 한 제품은 약국 간 가격이 3배 이상 가격차를 보였다고 한다.

게다가 편의점에서 안전상비의약품을 구매한다면 약국보다 더 비싸게 사야 한다. 편의점엔 약사가 없어 일반의약품 처방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1일 복용량 기준으로 성분과 용량을 제한한다. 용량은 적고 가격은 더 비쌀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편의점으로 의약품을 납품할 경우 유통도 복잡해지고 카드할인 대상에서도 제외돼 소비자가 더 부담해야 한다.

이와 같이 약값이 약국이나 판매되는 곳에 따라 천차만별인 것은 일반의약품의 경우 판매자가격표시제를 실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약국이 제약사 공급가라는 하한선을 기준으로 알아서 약값을 책정하도록 하고 있다. 약국마다 약값이 고무줄같이 늘었다 줄었다 하니 소비자들로선 어느 곳에서 사야 하는지 혼란스럽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물론이고 일선 약사들도 약값을 통일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최소한 지역마다 약값을 다르게 판매할 수 없도록 명확하게 약값을 표기한다면 소비자들이 마음 놓고 구입할 수 있을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다. 정가제 도입이 한 방법일 수 있다.

그렇지만 복건복지부는 의약품 가격은 약국개설자가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가격 통제보다 약국 간 선의의 경쟁을 유도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소비자가보다 적절한 가격으로 약을 구입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입장이다. 정가제가 오히려 소비자에게 불리하다는 것이다.

아무리 그렇다 해도 천차만별인 지금의 약값을 조정할 보완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소비자에게 의약품 가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가격 조사를 수시로 실시해 터무니없이 비싸게 판매하는 약국에 대해선 시정토록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