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길 기자) 노사민정 합의를 기반으로 한 상생형 지역 일자리 '광주형 일자리'가 올해 초 타결된 가운데, 광주에 이어 새로운 지역으로 19일 구미가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청와대는 6월 내 성과가 나올 것 전망하고 있어, 이를 계기로 상생형 일자리 모델의 전국 확산에 속도가 붙을지 기대된다.

지난 19일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 수석은 기자간담회를 통해 "제2·제3의 광주형 일자리, 즉 상생형 일자리를 더 활성화해야 한다"며 "6월 내 한두 곳에서 가시적 성과가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 수석은 지난 2월 기자간담회에서 '제2의 광주형 일자리'를 거론하며 그 후보지로 "전북 군산, 경북 구미, 대구 등이 아주 구체적인 계획을 가진 것 같다"고 소개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와 관련 최근 장세용 구미시장이 최근 청와대를 방문 김수현 정책실장, 윤종원 경제수석, 정태호 일자리수석 등을 만나 상생형일자리 와 관련한 논의를 한 것으로 전해지며 구미가 가능성이 매우 큰 상황으로 논의가 구체적인 단계까지 진전된 것으로 유력시 되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또 다른 여권 관계자에 의하면 "광주형 일자리 타결 후 정부는 다음 후보지로 구미를 1순위를 두고 논의를 진행해왔다"며 "현재 지자체서 베터리 분야로 구체적 참여 기업까지 정해 실무협의를 하며 상당한 진척이 이뤄진 상태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전기차 배터리 업종에서 상생형 일자리가 타결된다면 참여 가능한 대기업은 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이 꼽히고 있다.

일각에서 호남인 광주에 이어 TK(대구·경북) 지역의 구미가 지역 상생형 일자리의 '바통'을 이어받는다는 점에서 지역균형발전 취지에도 부합한다는 설명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나

군산 등 다른 지역에서도 향후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경우, 구미보다 앞서 이들 지역에서 상생형 일자리 협약이 타결될 가능성도 열려있다고 전망되고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여러 자치단체가 기업들을 접촉하고 있으며, 상당히 활발히 논의가 진행되는 것 같다"며 "지금 (다음 지역이) 어디인지 특정해 말하는 것은 가능성은 높으나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님으로 적절치 않은 것 같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