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뉴시스

전문 인력 양성하고 자금 지원

산단 중심 산업생태계 조성

글로벌 시장 진출 적극 지원

원전 폐기물 관리 연구 확대

경주 등 원전해체 연구소 설립

한수원 등 중심 핵심 장비 개발

(박진우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035년까지 세계 원자력발전소(원전) 해체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10%의 점유율을 달성해 원천 해체 톱(TOP)5 국가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전 세계 원전해체 시장 규모는 549조원으로 추산된다. 국내 해체시장은 '22조5000억 원+α'로 2030년 이전까지 원전 12기 설계수명이 만료돼 시장이 본격 확대될 전망이다.

홍 부총리는 1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3차 경제활력대책회의를 주재하고 "2030년까지 원전 해체 시장은 세계적으로 123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시장은 원전 30기를 기준으로 22조원 이상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망했다.

정부는 이날 '원전 해체 산업 육성전략'을 첫 번째 안건으로 논의했다. 안건에는 ▲초기 시장 창출 및 인프라 구축 ▲원전 해체 전문 기업 육성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등 3대 전략과 제도적 기반 구축 과제 등이 담겼다.

홍 부총리는 "초기 시장 창출을 위해 고리 1호기, 월성 1호기의 해체 물량을 조기 발주하고 기술 고도화·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을 강화하겠다"며 "원전 해체 전문 기업 육성을 위해 전문 인력 양성, 자금 지원 강화와 함께 지역 산단 등을 중심으로 한 원전 해체 산업 생태계 조성에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고리1호기 해체를 기술역량의 축적과 산업 생태계 창출의 기회로 삼기로 했다. 이를 바탕으로 원전해체산업의 글로벌 시장진출을 도모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우선 고리 1호기와 월성 1호기 해체를 계기로 원전기업이 참여 가능한 초기시장을 창출하고 원전해체 핵심역량을 확충한다. 고리1·2호기 터빈건물 격리공사, 월성1호기 최종해체계획서 작성 사전용역 등 해체대상 원전 준비시설 등 25개 사업을 조기에 발주한다.

고도화·상용화 및 안전한 폐기물 관리를 위한 연구·개발(R&D)도 확대한다. 오는 2021년까지 기존에 식별된 96개 자립회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또한 2022~2030년까지 수행할 '중장기 로드맵 수립' 등 세부방안을 올해 하반기 중에 확정한다.

산업육성 및 중소기업 지원의 핵심 인프라로서 부산·울산(경수로)과 경주(중수로)에 원전해체연구소를 설립한다. 한국수력원자력 등 원전 공공기관 중심으로 구조물 절단 및 제염, 방사성 폐기물 측정 등 부가가치가 높은 핵심장비 개발을 추진한다.

정부는 원전해체 전문 강소기업도 적극 육성한다. 해체 원전 인근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원전 중소기업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지역 산업단지 등을 중심으로 해체기업 공급망도 구축한다.

정부는 우리 기업의 단계적 글로벌시장 진출도 지원한다. 공공기관과 협력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고리 1호기 해체실적과 협력관계 등을 토대로 ▲선진국 단위사업 수주 ▲제3국 공동진출 ▲단독진출 등 해외 진출 3단계 전략도 구사한다.

해외 진출 3단계 전략에 따르면, 오는 2020년대 중반까지 선진국 해체원전 대상으로 단위사업 중심으로 수주활동을 전개한다. 고리 1호기 해체시 기술제휴 등의 형태로 해외기업을 참여시키고 우리 중소기업이 국제 공급망에 편입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