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뉴시스

(송승화 기자) 지난달 취업자 수가 26만3000명 늘었다. 지난해 1월 이후 1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 폭이다. 이는 보건복지부가 시행한 노인 일자리 사업으로 60대를 취업자가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반면 우리 경제의 허리라 할 수 있는 30대와 40대 취업자는 각각 11만5000명, 12만8000명 줄었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634만6000명으로 1년 전보다 26만3000명(1.0%) 증가했다. 증가 폭은 지난해 1월(33만4000명) 이후 가장 많다. 지난해 연평균 취업자 수가 9만7000명에 그쳤다는 점을 고려하면 전년 대비 상당히 개선된 수치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개선 폭이 가장 컸다. 60대 취업자는 지난달 39만7000명 증가했는데, 이는 1982년 7월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큰 폭이다. 20대 취업자도 3만4000명 소폭 늘었다.

산업별로 보면 정부의 일자리 사업과 관련성이 높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취업자가 23만7000명이 불어났다. 증가 폭은 역대 최대 폭이다.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업에서도 1만7000명이 증가했다. 이밖에 늘어난 업종은 농림어업(11만7000명), 정보통신업(7만2000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6만7000명), 교육 서비스업(1만5000명) 등이다. 숙박·음식점업도 1000명 늘어나면서 2017년 6월(-4만4000명) 이후 21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

농림어업의 경우 고령화 영향이 크다. 농림어업 취업자의 대부분은 60세 이상이다. 은퇴 후 귀촌해 일하는 근로자와 무급가족종사자들이 늘고 있는 데다 한 번 진입하면 다른 산업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업종 특성상 개선이 이어지고 있다.

반면 30~40대 비중이 높은 제조업(-15만1000명), 도·소매업(-6만명), 건설업(-3000명), 사업시설관리, 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2만9000명) 등에선 상황이 좋지 않았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구조조정 등 영향으로 지난해 4월 6만8000명 줄어든 후 감소세가 10개월째 지속되고 있다. 반도체가 포함되는 전자 부품을 비롯해 영상통신, 전기장비 쪽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 중에선 상용근로자가 29만9000명이 늘어 전체 취업자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전년 대비 0.7%포인트 상승한 53.1%를 기록했다. 취업자 수가 개선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농림어업, 정보통신업에서 상용직이 대부분인 점과 연결된다. 일용근로자도 4만명이 증가했다. 그러나 임시근로자가 4만3000명 감소했다. 이 역시 임시직에 종사하고 있던 노인들이 정부 일자리 사업 공고에 참여하게 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통계 당국은 분석한다.

반면 실업자는 130만30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8000명 늘었다. 지난 2017년 2월(134만2000명)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50대에서 구직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실업자가 4만3000명 불어났다. 실업자는 30대(1만5000명)와 40대(1만1000명)에서 모두 늘었다. 반면 60대에선 2만1000명 감소했고 20대에서도 1만2000명 줄었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