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울산 남구 울산시청에서 열린 전국경제투어 '수소경제와 미래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 수소경제 전략보고회에 앞서 수소전기차 밸류체인 전시를 관람하고 있다. /뉴시스

수소충전소 전국 1200개소 구축

2025년까지 연 10만대씩 양산

핵심 부품 국산화 100% 도전

2030년 수소가스터빈 상용화

안정적 수소 저장체계도 마련

수소 1㎏당 3000원에 공급

(이진화 기자) 정부가 수소차와 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수소경제를 활성화,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로 적극 육성한다. 수소가 국가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 잡고 친환경 에너지 전환에 기여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7일 발표한 ‘수소경제활성화로드맵’에 따르면 2040년까지 수소차를 620만대 생산해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고 발전용 연료전지를 15GW 생산하겠다는 목표다.

이번 계획의 핵심은 수소 모빌리티(mobility)다. 수소승용차 생산량을 2040년 620만 여대까지 늘리고 수소충전소는 전국에 1200개소 구축하기로 했다.

지난해 1800대 수준이었던 수소차를 2022년까지 8만1000대, 2040년까지 620만대로 대폭 늘린다. 내수용으로 290만대, 수출용으로 330만대다.

국내에서 수소차의 보급 상황을 보면 누적 규모로 지난 2017년까지 177대에서 지난해 889대까지 5배가량 늘어났다. 올해도 정부는 신규 수소차를 4000대 이상 보급할 계획이다.

정부는 2025년까지 수소차를 연 10만대씩 양산하는 상업적 체계를 구축해 수소차 가격을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내릴 계획이다. 2022년까지 막전극집합체, 기체확산층 등 핵심 부품의 국산화율도 100%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정부는 현재 14개로 미미한 수준인 수소충전소를 올해 중 86개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후 2022년까지 310개, 2040년까지 1200개로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도심 속 수소충전소의 물리적 폭발 가능성과 관련해 산업부는 "수소 가스를 담고 있는 저장 용기는 탄소 섬유로 제작돼 7000t이 넘는 에펠탑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정도"라며 "17개 분야에서의 안정성 시험을 거쳐 제작·보급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연료전지를 적극적으로 생산한다. 2040년까지 발전용 연료전지 15GW(내수 8GW), 가정·건물용 2.1GW(94만가구용) 보급한다. 발전용의 경우 상반기 중 연료전지 전용 LNG 요금제를 신설하고 가정·건물용은 설치장소와 사용유형별 특징을 고려해 다양한 모델을 출시하기로 했다. 2030년부터는 대규모 발전이 쉬운 수소가스터빈을 상용화할 예정이다.

이에 필요한 수소는 1㎏당 3000원에 연 526만t 까지 공급한다. 수전해와 해외생산 수소 등을 활용해 그린수소 산유국으로 도약을 꾀한다. 기체·액체·액상·고체 등 저장방식을 다양화하고 수소 수요 증가 추세에 발맞춰 튜브트레일러 및 파이프라인 사용을 늘린다. 장기적으로는 전국을 연결하는 수소 주배관을 건설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수소의 적정 기준가격을 제시하고 수급관리 및 거래체계를 구축하는 등의 방법으로 수소가격을 안정화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수소가격을 2022년 1㎏당 6000원(시장화 초기가격)에서 2030년에는 4000원으로, 2040년에는 3000원까지 떨어뜨리는 게 목표다.

한국과 세계 수소경제 주도권을 두고 경쟁 중인 일본은 현재 수소를 1㎏당 1만1308원에 공급한다. 2030년에는 3392원까지 낮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수소 대량공급 기반을 마련해 현재 연 13만t에 불과한 수소 공급량도 526만t까지 확대한다. 전국 한국가스공사 정압관리소 142곳이 생산 후보지다. 올해 중 생산기지 1기를 먼저 구축하고 수요를 살펴 점차 확대하기로 했다. 수요가 많은 도심지 인근에 1일 500㎏가량을 생산할 수 있는 수소추출기도 구축한다. 수소버스 20대·수소차 100대 분량이다.

수전해와 해외 수입 등으로 생산지를 다변화한다. 바이오매스·미생물 등으로 생산방식도 다양화하고 지역별 특성에 맞춰 수소를 저렴하게 생산할 방안도 마련하기로 했다. 석유화학산업단지가 있는 울산·여수·대산 등지에서는 공장을 돌리며 생성되는 부산물인 부생수소를 활용하는 등의 방법이다.

저렴하고 안정적인 수소저장체계도 확립한다. 2030년부터는 액화·액상 등 수소 저장·운송도 필요하다. 액체수소는 운송비용이 기체수소의 10분의 1에 불과하다. 고압 저장이 필요한 기체수소와 달리 대기압 저장이 가능해 안전성도 높다.

유통은 수소파이프라인을 이용한다. 주요 수요처에 파이프라인을 우선 설치하고 중장기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 생산기지 등 대규모 공급과 연계하는 배관을 구축한다. 수도권 등 수요가 많은 도시는 민간 주도로 2022년까지 먼저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전국을 연결하는 주배관 건설은 2030년까지 마치기로 했다.

정부는 수소경제의 기술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관련 부처 공동으로 상세 기술 로드맵을 수립한다. 산업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이다. 2030년까지 2조원가량을 투입하는 범(凡)부처 수소기술개발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한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