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등 각급 지방자치단체마다 길거리 쓰레기통 설치 확대 여부를 놓고 고민하고 있다고 한다. 거리환경을 깨끗이 하기 위해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가정에서 나온 쓰레기를 몰래 버리는 얌체족들로 인해 관리가 어렵기 때문이다.

도시환경정비차원에서 필요하다면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되 적극적인 홍보와 효율적인 관리 방안이 나와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길거리 쓰레기통은 지난 1995년 쓰레기 수수료 종량제가 실시되면서 점차 자취를 감췄다. 쓰레기 처리에 원인자 부담 원칙이 적용되고 종량제 봉투를 통해서만 쓰레기를 배출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02년 월드컵을 앞두고 도시환경정비 차원에서 길거리 쓰레기통이 다시 등장했다. 인천시의 경우 유동인구가 많은 곳을 중심으로 길거리 쓰레기통을 설치했다. 국제행사를 맞아 시민과 외래 관광객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조치였다.

이후 길거리 쓰레기통 설치를 늘려달라는 민원이 많아지면서 길거리 쓰레기통은 더 중가했다.

지금은 각 자치구 별로 길거리 쓰레기통을 관리하고 있는데 설치 확대를 놓고 찬반양론으로 갈리고 있다.

많은 일반 시민들은 편의를 위해 길거리 쓰레기통 설치 확대를 요구하고 있는 반면 쓰레기통 인근의 상인들과 주민들은 쓰레기통을 치워달라는 민원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길거리 쓰레기통이 담배꽁초는 물론 얌체족들이 가정에서 배출된 쓰레기까지 몰래 버려 미관을 해치고 악취까지 풍기기 일쑤이기 때문이다.

도심 거리환경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선 길거리 쓰레기통 설치가 필요하지만 양심불량 시민들로 인해 관리가 제대로 안 되니 지자체 입장에서는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다.

뭔가 묘안을 찾아야 한다. 가장 좋은 것은 시민들의 의식 개선이다. 길거리 쓰레기통은 불가피한 쓰레기만 버리는 곳이라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가정에서와 마찬가지로 재활용과 일반쓰레기를 분리해 버려야 한다. 이런 사실을 지자체별로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시민의식 향상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길거리 쓰레기통을 중심으로 CCTV를 설치하는 등으로 불법 투기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는 방안도 강구해야 한다. 성숙한 시민의식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강력한 단속으로 얌체족들을 몰아낼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