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화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서울 답방은 물 건너가는 분위기다. 청와대 움직임도 달라지고 있다. 서두르거나 재촉할 의사가 없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여부에 대한 관심이 절정에 이르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올해보다는 내년 초로 넘어갈 수 있다는 쪽으로 흐르고 있다.

10일 청와대에 따르면 북한은 이렇다 할 답변을 주지 않고 있다. 더구나 물밑에서만 남북 정상회담을 준비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 가장 관건인 김 위원장의 경호·안전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선 최소한의 가닥이라도 잡혀야 하지만 정작 북한이 답방에 대한 명확한 답변을 주지 않아 추진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오전 춘추관을 찾아 기자들에게 김 위원장 답방 준비에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음을 토로했다.

이 관계자는 "북측에 충분한 메시지는 간 상황이고 그들도 답방한다면 여러 고려할 사항이 많기에 우리도 노심초사하지 않고 담담히 기다리고 있다"며 "우리가 준비할 수 있는 부분은 하겠지만 시점이 언제가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못 박을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의 가능성에 대비해 준비할 수 있는 것은 하겠지만 (시점은) 전혀 예측이 안 되기에 구체적인 준비를 못 하고 있다"며 "호텔의 경우 날짜가 정해져야만 (실질적으로) 준비를 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실무적인 입장에서 봤을 때 북한의 공식 답변이 있기 전까지는 추진할 수 있는 부분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최소한 10일 정도의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는 게 청와대 관계자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이런 가운데 김 위원장의 예상 답방 시기와 관련한 언론의 추측이 쏟아지고 있는 것도 청와대 입장에서는 부담이다. 김정일 7주기인 17일을 넘긴 18~20일이 유력하다는 전망과 12~14일, 크리스마스 전후 등의 추측이 동시 다발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