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3부동산 대책 이후 매수세가 위축되면서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60주 만에 꺾였다. /뉴시스

(이진화 기자) 9·13부동산 대책 이후 매수세가 위축되면서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60주 만에 꺾였다.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집값이 3주 연속 동반 하락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8일 한국감정원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11월 첫째 주(5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0.02% 상승)대비 보합으로 전환됐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멈춘 것은 2017년 9월11일(0.01%) 이후 처음이다.

이번 주 강남지역 11개 자치구가 0.02 하락하며 전주 보합에서 내림세로 돌아섰다. 지난 6월4일(-0.01%) 이후 5개월여(22주)만에 하락세다. 강북 14개 자치구(0.03%)도 전주(0.04%) 대비 상승폭이 둔화됐다.

감정원은 종합부동세 등 세제강화, 임대사업자 혜택축소 및 대출규제 등을 담은 9·13대책 등이 효과를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자치구별로는 전주와 같이 강남3구, 용산구, 동작구 등 5개 자치구가 하락세를 유지했다. 또 서대문구 등 5개 자치구는 보합을 기록했다. 나머지 다른 자치구도 대부분 보합권에 가까워지고 있다.

우선 서울 동남권, 이른바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는 0.07% 떨어지며, 3주째 낙폭이 확대됐다.

송파가 0.10% 떨어지며 하락을 주도하고 있고 강남(-0.07%), 서초(-0.07%) 등도 내림폭이 크다. 강남3구 지역과 차별화된 장세를 보이던 강동도 보합에 진입해 지난 7월9일(보합) 이후 17주만에 상승세가 꺾였다.

지난주 하락 전환한 용산(-0.02), 동작(-0.04%) 등도 하락폭을 유지하거나 낙폭이 소폭 커졌다. 또 서대문에 이어 성동, 양천, 강서가 보합 전환했다.

중구(0.11%), 강북(0.08%), 영등포(0.07%), 노원(0.05%) 등은 개발호재의 영향으로 서울 평균 대비 높은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상승폭은 제한적이다.

감정원 관계자는 "중·종로구는 상승폭 낮았던 주상복합과 구축 중소형 위주로, 강북·노원·동대문·성북구는 동북선 등 개발호재가 나타난 지역 주로 상승세 이어갔고, 영등포·금천구 등도 상승폭 낮았던 구축 위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용산구가 호가 하락에도 매물이 누적되고 강남3구는 재건축 단지 위주로 하락세가 확산되고, 강동구도 급등 피로감이 누적된 고덕동 신축아파트에 매수세 실종되며 보합 전환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