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본부장

최근 재벌가와 대기업의 갑질이 연일 문제가 되고 있어 일반인들의 공분을 사고 있다.

악의적인 갑질의 사회적 폐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특히 우월적 기업의 갑질은 불공정한 거래를 지속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우월적 지위를 더욱 고착화 시키고 나아가 경제 구조를 왜곡시킨다는데 문제가 심각하다 하겠다.

최근 기자가 만났던 한 축산업체 대표가 호소하는 억울함을 들어보면 아직도 이 사회는 우월적 기업의 갑질이 횡행하고 있으며 갑질이 아주 체질화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육가공업을 하는 A축산 대표는 대기업 계열사인 P기업으로부터 약 3억원 정도를 돌려받지 못해 도산 위기에 몰려 있다고 하소연이다.

A축산 대표에 따르면 가축사료와 육가공을 하는 굴지의 대기업인 P기업이 영세업체의 재정적인 약점을 빌미로 얼토당토 않는 갑질을 한다는 것이다.

A축산은 육가공물을 판매하는 중도매 영세업체다.

A축산은 지금까지 P기업과 36억 원 정도의 육가공식품을 정상적으로 거래를 해왔다.

그러나 거래 금액 중 3억 원은 성수기 때 육가공물을 할인된 가격으로 받기위해 대의명의로 입금한 선수금의 일부라는 것이다. 그런데 P기업은 갑자기 그동안 거래된 금액은 36억 원이 아니라 33억 원이라며 A축산의 거래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하는 데서부터 문제가 시작된다.

A축산은 마른하늘에 날벼락을 맞은 듯 꼼짝없이 충격적이고 당황스러운 상황에 처하게 됐다.

A축산은 거래해온 내역서와 영수처리 된 서류를 대조하고 36억 원의 입금 통장을 확인한 결과 P기업의 영업직원이 영업실적을 올리기 위해 A축산의 입금금액을 다른 업체가 입금한 것처럼 꾸민 편법적 배임으로 드러났다는 것이다.

차후 P기업 영업사원은 이와같은 편법을 인정했고 P기업도 사실 확인을 마쳤다고 했다.

그러나 3억 원에 대한 약속이 곧 이행될 것만 같았는데 현실은 엉뚱하게도 시간만 헛되이 흘러가는 상황이 되고 말았다.

이유는 거래내역 금액 중 일부 입금금액이 A축산이 입금한 것이 아니라 A축산과 거래하는 소매업체들의 대체명의로 입금 처리한 부분이기 때문에 환불을 하더라도 A축산이 아니라 소매업체에 해야 된다고 억지 주장을 펴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A축산은 P기업에 대의명의로 입금을 했을 뿐 모든 것이 정확하게 입금 됐다는 사실을 납득시켰다.

결국 P기업은 36억 원이 정상 입금처리된 것을 인정했으며 A축산은 환불이 이행 될 때 까지 마냥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다.

P기업의 갑질의 끝은 여기가 아니었다.

A축산 대표는 “아무리 기다려도 3억 원을 환불해줄 생각을 하지 않아 결국 소송하기로 마음먹었다”며 “P기업은 소송해서 그 돈을 받아가라는 입장인 것 같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일각에서는 “대기업의 고용창출 등 경제적 효과를 강조하지만, 대기업의 횡포로 중소업체가 도산하는 어두운 이면도 있다”며 보다 공정한 거래 질서가 확립되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제 새 정부가 들어섰다. 문재인 정부는 ‘특권과 반칙이 없는 세상, 상식대로 해야 이득을 보는 세상을 만들겠다’고 천명했다.

갑질을 일삼는 기업이 바로 적폐다. 새 정부에서는 약자에게 갑질하고 강자에게 갑질을 당하는 이런 악의적이고 불합리한 고리를 반드시 끊어야 한다.

그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하고 협력하는 경제 생태계가 만들어져야 한다.

대기업은 중소기업을 키우고 중소기업은 자생력을 길러 강해져야 나라의 경제 구조가 튼튼해진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아는 얘기다.

대기업의 인식 전환을 다시 한 번 촉구해본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