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은 17일 '6월 미국 금리 인상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한미 간 금리격차가 연말까지 최대 1.0%p까지 벌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뉴시스

(박진우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은 17일 '6월 미국 금리 인상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한미 간 금리격차가 연말까지 최대 1.0%p까지 벌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전망이 연 세 차례에서 네 차례로 상향조정된데 반해 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여력은 여전히 약하기 때문이다.

연준은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1.50∼1.75%에서 1.75∼2.00%로 0.25%p인상했다. 한미간 금리 격차는 이제 0.5%까지 벌어졌다. 이는 2007년 8월 이후 가장 큰 격차다.

연준은 미국 경제 회복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지면서 매파적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현재 노동시장은 완전 고용 수준이고, 소비자 물가 등 대부분의 물가 지표도 목표치에 도달했다.

다만 국내의 경우 회복세가 미약한 가운데 물가 상승률도 1%대 중반 수준에 머물러 있다. 특히 5월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7만2000명 증가하는 데 그치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10년 1월 이후 가장 낮은 증가 폭이다.

하반기에 연준이 2회 더 올린다면 미국의 정책금리는 2.25∼2.50%가 된다. 한은이 하반기 금리를 한 차례 인상한다면 양국 격차는 0.75%p, 금리를 그냥 둔다면 1%p가 된다.

연구원은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자금유출 가능성보다는 국내 경기 부진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미국과의 금리격차가 발생해도 국내 경제의 기초체력 강화, 한반도 지정학적 리스크 완화에 따른 원화 절상 가능성 등으로 급격한 외국인 투자 자금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여력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연구원은 미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가속화에 따른 신흥국 위기설과 관련, 신흥국 22곳을 대상으로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과 통화가치 절하율 ▲국제통화기금(IMF)의 위기 판단 지표 ▲외환 보유액 등에 따른 파급 영향을 점검했다. 점검 결과 아르헨티나·터키·이집트·미얀마·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이 위기 가능성이 높은 국가로 분류됐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