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뉴시스

(박진우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13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1.50~1.75%에서 1.75~2.0%로 올리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상단이 2% 시대로 접어든 것은 지난 2008년 이후 10년 만이다.

미국이 금리를 올리며 한·미 금리 차이는 11년 만에 최대 폭으로 벌어졌다. 현재 우리나라 기준금리(연 1.50%)와 미국 금리는 0.5%포인트 벌어지게 됐다.

미 연준이 공개한 '닷차트(점도표)'에 비춰보면 미국 정책금리는 올해 말 2.25~2.50%까지 올라갈 전망이다. 한은은 올해 한차례 금리인상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 이 속도대로라면 한·미 역전 금리 차이는 최대 0.75%포인트까지 확대될 수 있다.

그러나 정부는 미국의 금리인상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진단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은행회관에서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거시경제금융회의'를 개최해 미 연준의 6월 FOMC 결과 및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고 차관은 "연준의 통화정책 발표 직후 주가하락, 금리상승, 달러화 강세가 나타났다"면서도 "이후 시장 영향이 되돌려지는 모습을 나타냈으며 전반적으로 시장에 영향은 제한적이었다"고 밝혔다.

한미간 금리역전 심화로 일각에서는 자금유출 우려가 높다고 지적하지만 정부는 문제 없다는 입장이다.

고 차관은 "일각에서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최대 50bp까지 역전되며 외국인 자본의급격한 유출 가능성을 우려한다"면서도 "정책금리 역전 만으로 대규모 자금유출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외국인 주식투자분은 금리 수준보다는 경제 펀더멘탈, 기업 실적 등에 의해 좌우되고 있고, 외국인 채권자금의 경우 국부펀드 등 장기투자 비중이 60% 이상인 점을 감안할 때 단기간 내 급격한 유출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설명했다.

다만 고 차관은 "금년 중 금리인상 전망이 상향조정됨에 따라 향후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아르헨티나, 터키, 브라질 등 일부 신흥국 금융불안이 확산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고 전망했다.

따라서 정부는 "미국 등 주요국 경제상황과 통화정책 변화 및 신흥국 불안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며 "대외건전성 개편안, 금융기관 외환건전성 등의 상황도 꼼꼼히 점검하고 대외신인도 점검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