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설위원

 

지방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청약 한파가 이어지고 미분양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일부 지역의 경우 청약 신청자가 한 사람도 없는 곳이 나왔다. 서울 등 수도권의 청약 사이트가 마비되는 것과 대비된다.

미분양은 상황이 더 안 좋다. 일부 지역의 경우 미분양 주택의 증가 속도가 위험 수위에 이르렀다. 지역별 맞춤형 미분양 해소 방안이 마련되지 않을 경우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 전개될 것이라는 경고음도 나온다.

지난 4월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5만9583가구로 집계됐다. 전달에 비해서는 2.7% 증가했다. 지난해 4월(6만313가구) 이후 가장 많은 규모다. 지방 주택 시장의 침체가 깊어지면서 악성 미분양의 80%가 지방에서 나왔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2013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택 경기가 전반적으로 위축되면서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미분양 아파트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앞으로도 이 같은 양극화 현상이 더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공급 물량 조절을 통해 미분양을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각종 주택 규제로 돈되는 ‘똘똘한’ 주택을 보유하려는 심리가 커지면서 지방은 더 깊이 ‘침체의 늪’에 빠져들고 있다는 분석이 많다.

지방 미분양이 증가하면서 건설사들의 걱정도 커지고 있다. 특히 하반기에는 다주택자 보유세 인상등 세제 개편까지 예고돼 있어 상황이 더 심각하다. 증가 속도 자체만 놓고 보면 ‘부동산 침체기’와 비교할 때 심각한 상황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문제는 뾰족한 대안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워낙 기반산업이 침체되는 등 경기 자체가 좋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방 미분양을 줄이기 위한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지역별로 들어가 보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의 증가 속도를 넘어서는 곳들도 있다. 업체들도 지방 공급물량 조절 등 미분양 해소에 적극 나서야 한다.

정부도 지방 시장 경착륙을 막기 위한 다각적인 지원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방 미분양 주택의 최초 구입자에 대한 양도세 감면 등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