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장

6·13 지방선거 후보자들의 도덕성을 헤아리는 유권자 의식이 요구된다. 도내 시장·군수 후보 중 절반 가까이가 전과 기록을 가지고 있어서다.

지자체 살림살이를 책임지는 수장, 견제자 역할을 하는 지방의원들의 청렴한 자세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후보자에 관한 올바른 정보가 제공돼야 함은 물론이다. 당선을 위해 상대를 곤경에 처하게 하는 흑색선전은 예사인 탓이다. 비방도 서슴지 않는다.

정확한 정보가 부족하기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경우는 유권자의 올바른 판단을 저해한다. 혼탁 선거를 초래하는 암적 요소임은 물론이다.

따라서 남의 말에 귀 기울이기에 앞서 보다 신뢰성 있는 자료를 숙지할 필요가 있다. 후보자 공보물을 낱낱이 살펴봐야 하는 이유다.

그런 점에서 선거관리위원회가 후보자 등록을 마감하고 나서 공개한 정보를 주목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포함한 범죄 경력을 지닌 후보가 수두룩하다. 18개 시·군 단체장 후보는 총 60명이다. 이 중 29명(48.3%)이 전과 기록을 갖고 있다.

한 지자체장 후보자는 무려 13건이다. 그런가 하면 후보자들의 전과 유형도 가지가지다. 상습절도 사기미수, 상해업무방해 등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 건축법 위반, 명예훼손 등 다양하다.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 위반도 있다. 그나마 도로교통법 위반이 가장 많다니 죄질이 과하다고 몰아붙일 일은 아니라고 본다.

그러나 후보자의 도덕성이라는 측면에서는 흠결이 분명하다. 더구나 지역을 대표하는 공직자로서의 생활 자세를 읽게 하는 것이어서 간과할 수 없다.

더 중요한 것은 민심을 반영하는 지역 일꾼, 지자체 살림살이의 감시자로서의 자질과 역량이다. 아울러 주민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비전과 정책을 가졌는지를 제대로 따져봐야 한다.

그러기 위해 후보자의 됨됨이와 살아온 궤적을 살펴보는 것이다. 정당이 많아진 다당 체제여서 어부지리를 얻는 경우도 적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정치적 이해관계가 작용할 게 뻔해서다. 게다가 불량한 후보자가 선거 판세를 좌우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후보자의 자질은 중요한 판단 요소다. 유력 정당의 공천은 곧 당선이라고 인식되는 경우가 적지 않아서다. 그런가 하면 당선 여부와 관계없이 출마 자체가 목적인 후보자도 있다. 이를 분별하는 것은 결국 유권자의 의무이자 책무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