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뉴시스

(송승화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금리 정상화 방침에 따라 외국자본 유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미국 금리인상이 우리경제의 자본 유출로 이어질 가능성은 적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결과가 나왔다.

최우진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27일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가 외국자본 유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전했다.

보고서는 먼저 "미국의 금리인상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신흥국 불안에 따른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도 확대되고 있어 급격한 외국자본 유출에 대한 우려가 확대된다"고 진단했다.

미 연준이 2015년 12월을 시작으로 이미 여섯 차례 금리를 인상한 가운데, 최근 아르헨티나가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하면서 우려가 더욱 높아지는 상황이다.

하지만 분석 결과,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외국 자본 유출은 우리경제가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한미 금리차는 외국자본 유출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금리차와 외국자본 유출의 추이를 살펴보면, 금리차가 확대되는 시기에 외국자본이 오히려 유출되는 흐름을 나타냈던 것으로 보이나 계수 추정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한국과 미국 금융시장의 구조적 차이를 반영하기 위해 모형을 재설정해 분석을 시도한 결과에서도, 미국의 금리인상이 외국자본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차입투자와 채권투자 등 부채성 자금을 중심으로 유출을 부를 수 있지만, 이는 GDP 대비 0.38% 정도의 미미한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현재 한국은 3984억 달러 규모의 외환보유액을 지니고 있어 금리인상 충격에 따른 자본유출을 충분히 감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보고서는 국제시장의 변동성 확대나 지정학적 위험 확산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보고서는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증가하는 경우 차입투자 자금을 중심으로 외국자본 유출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며 "최근 신흥국 전반에 외국자본 유출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단기 외채 비율 점검 등 현재의 양호한 외환건전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