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기한 연장 2016→2044년을 주장하고 있는 서울시가 수도권매립지 부지에서 추진되고 있는 대형 국책사업까지 방해하며 매립지 연장 방침을 고수해 서울시의“꼼수”가 도를 넘고 있다,

서울시는 2016년 현재의 제2매립장의 사용기한이 끝나면 근처에 제3매립장을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인천시는 악취와 환경오염 등을 이유로 2016년 매립을 종료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환경부가 수도권매립지 내에 추진하고 있는 1천560억원 규모의“환경산업 실증화 단지”는 미래 환경산업 역량 강화를 위해 진행하고 있는 대형 프로젝트다.

실증화 단지가 2016년 완공되면 인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지역의 환경 분야 연구·개발 업체들과 지방에 있는 중소 사업자들까지 관련 기술, 장비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이 같은 국가사업에 서울시가 매립지 기한 연장 문제를 끌어들이면서 인천시는 물론 환경부까지 난색을 표하고 있다.

환경부는“실증화 단지가 들어설 수도권매립지의 토지 지분 70%는 서울시가 갖고 있어 서울이 토지 이용에 관한 동의를 해야만 단지를 조성할 수 있다”며“단지가 조성되면 서울시에 있는 환경 관련 업체들도 수혜를 보는 만큼 일이 원만하게 진행되길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는 인천시가 수도권매립지에 들어서는 폐기물 처리시설 등은 반대하며 실증화 단지 같은 연구시설을 찬성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 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인천시 관계자는“서울시가 지난해에는 수도권매립지 내에 들어서는 아시안게임 경기장 4곳의 예산 지원 방법을 놓고 대립하는 등 무슨 일만 있으면 수도권매립지 기한 연장 문제를 결부시키려 한다”며“수도권매립지 운영을 2016년 종료시킨다는 인천시의 방침은 끝까지 고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1매립장은 2000년 매립이 완료됐고 지금 제2매립장은 2016년 12월에 사용이 종료된다. 매입 가능량으로 따지면 제2매립장은 55%를 사용한 상태다.

서울시는 2017년 이후에도 쓰레기를 원활하게 매립할 수 있도록 이른 시일 내에 제3매립장(221만㎡ 규모)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서울시는 그동안 인천아시안게임경기장 건설, 사극전용 영상촬영세트장·글로벌 테마파크·녹지 조성에 협력하고 비산먼지·소음으로 민원이 잦은 쓰레기 수송차량 문제를 지하차도 건설로 해결하겠다고 밝히는 등 인천시의 마음을 사려고 노력해왔다.

인천의 시민단체들도 "서울시가 매립지 연장 사용의 당위성을 공공연히 홍보하고 세뇌하고 있는데 대체 부지를 확보하는 게 상생하는 길"이라며 반발해왔다.

특히 청라국제지구 주민들은 "20여 년을 악취, 분진, 소음 고통을 당해왔다"면서 극렬하게 반대하고 있다.

인천시도 자체적으로 시민 대토론회를 여는 등 해결 방안을 찾아왔지만 민감한 사안인 탓에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섣부른 결정을 내릴 수도 없는 처지여서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차강수기자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