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미 국토부 장관 취임식 모습. (사진=뉴시스)
문재인 정부의 첫 부동산 정책인 6·19대책에 따라 과열됐던 부동산시장이 올 하반기 안정화할지 여부가 주목되고 있다.
 
하지만 연내 공급물량 증가와 금리인상 가능성 등이 있기에 성사 여부는 서울과 부산 과열 양상이 어느 정도 잡히는가에 달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6·19대책의 시장 반응에 따른 후속 대책이 더 중요할 전망이다.
 
25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전국 부동산 시장은 서울과 부산은 올들어 집값 상승세가 거세는 등 서울·부산과 이외 지역의 양극화가 커지고 있다. 청약경쟁률도 평균 두자릿수 경쟁률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새정부는 지난 19일 서울과 부산을 집중직으로 단속하는 '핀셋 규제'를 빼들기에 이른 것이다.
 
서울 전역의 전매 가능 시점을 소유권등기 이전시에 가능하도록 규제했고, 부산은 기장군과 진구를 청약조정지역으로 지정했다. DTI(총부채상환비율)와 LTV(주택담보인정비율)를 규제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대책이 시장 안정화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않겠지만, 과열된 서울과 부산에서 투자 수요가 어느 정도 빠지면서 숨고르기에 들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이러한 상황에서 올 하반기 분양시장에는 전국에 전년 동기대비 9.4%증가한 20만가구 '분양폭탄'이 예고돼 있다. 2000년 이후 지난 2015년을 제외하고 최다 물량이다.
 
이는 탄핵정국과 새정부 출범 등 대내외 불확실성 때문에 상반기 분양 물량이 하반기로 미뤄졌기 때문이다.
 
특히 서울 및 수도권에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한 9만5369가구가, 부산에는 2만3746가구가 예정돼 있는 등 서울과 부산 정비사업지를 중심으로 물량이 집중됐다.
 
이처럼 규제가 적용된 상태에서 공급 물량이 많은데다 연내 금리 인상 가능성도 있어 경착륙할 우려도 제기된다. 이에 전문가들은 "우선 이번 대책에 따른 시장 변화를 지켜보면서 추가대책의 강도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시장 흐름을 지켜보면서 내놓는 후속대책이 더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또한 오랜 저금리와 대출 완화로 이미 시장에 유동성이 큰 상황이다. 이들 투자금이 분양시장을 피해 기존 아파트시장이나 오피스텔 등으로 옮겨가는 '풍선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는 "고덕 그라시움 전매 제한이 풀리면서 거래가 이뤄져 집값 상승세로 이어지는 등 6·19대책 이전에 분양한 단지가 상당히 많다"며 "이런 단지들을 중심으로 분양권 거래가 활발할 수 있어 불법거래 등이 시장을 교란하지 않는지 단속을 철저히 할 때"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